바이트 메모리 (Byte Memory)
컴퓨터는 바이트(Byte)단위로 일을 처리한다.
그림에 나와있는 M 은 비트메모리이다. 비트메모리가 8개가 모여서 바이트 메모리가 된다.
>> 비트메모리?
https://jinn-o.tistory.com/117
[논리회로] 비트메모리 : 메모리가 비트를 저장하는 방법
메모리에 비트는 어떻게 저장될까? 비트 메모리는 위와 같은 사진으로 이루어져있다. 크게 보면 중요한 단자는 세 가지이다. input 입력단자인 i, output 출력단자인 o, 입력 제어 단자인 s. s i a b c o
jinn-o.tistory.com
출력 제어기
바이트 메모리와 언뜻보면 비슷해보이지만, 엄연히 다르다. 데이터를 입력하는 바이트 메모리의 경우, 비트 메모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 비트 메모리의 핵심 기능은, 데이터를 변경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출력 제어기의 경우 데이터를 보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말 그대로 데이터를 내보낼 것인지 말 것인지만 정하면 된다. 즉, 바이트 메모리는 NAND 게이트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출력 제어기는 AND 게이트들로 이루어져 있다.
입력 e 가 0 이면 출력하지 않고, 1 이면 출력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바이트 메모리와 출력 제어기가 합쳐지면?
레지스터(register)가 된다!
이러한 레지스터들은 버스(bus) 형태로 묶여있다!
버스는 바이트 데이터가 이곳저곳 갈 수 있게 해주는 8개짜리 전선 다발이다. 한 레지스터가 s를 1로 설정하고 있을 때 다른 레지스터의 e가 1이 되어 출력을 한다면, 레지스터 간의 데이터가 전달된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바이트를 이동해도 출발지의 바이트 내용은 절대로 지워지지 않는다. 바이트 이동이 완료되어도 출발지 바이트의 내용이 변하거나 소거되지 않는다. 오히려 목적지 바이트에 있던 원본 바이트 패턴만 사라진다. 어딘가로 '이동' 한다기보다 '복사'된다고 보는 것이 맞다.
'컴퓨터 공학 > 컴퓨터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구조] Logical shift/Arithmetic shift (0) | 2021.10.13 |
---|---|
[컴퓨터구조] 램(RAM)의 구조 뜯어보기 (0) | 2021.10.12 |
[논리회로] 비트메모리 : 메모리가 비트를 저장하는 방법 (0) | 2021.10.08 |
[논리회로] 컴퓨터의 가장 기본인 부품은 NAND 게이트다 (0) | 2021.10.08 |
[컴퓨터구조] C언어 메모리 구조 (정말 간단 정리) (0) | 202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