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질문의 발생

어느정도 깃허브를 사용할 줄 알게 되면, 이제 궁금증이 생기게 된다.

그냥 습관적으로 사용하던 push 에서 origin 은 도대체 왜 붙이는 거지?

git repository 에 존재하는 master branch 에 push 하는 명령어인건 알겠는데, origin 은 뭐지?

 

 

 

1. origin 의 정체

origin 은 바로 (어느정도는 눈치챘듯이) 원격저장소의 이름이다!

그러나 왜 origin 으로 이름을 지정하였는가 하면 통상적으로 첫 주인의 원격저장소는 그렇게 지정하기 때문이다.

 

 

 

2. 그렇다면, 다른 원격저장소도 추가할 수 있는 건가?

그렇다.

 

 

2-1. 현재 연결되어있는 원격저장소 확인하기

// 연결된 원격저장소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git remote

// 연결된 원격저장소의 주소까지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git remote -v

 

 

 

2-2. 연결시킬 원격저장소 추가하기

git remote add (원격저장소명) (원격저장소url)

새로운 원격저장소 명을 만약에 server 로 하게 된다면,

이후에 git remote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실행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올 것이다.

> git remote

origin
server

 

 

 

3. 특정 원격저장소의 정보를 더 자세하게 조회하는 방법

git remote show (원격저장소명)

// 예시
git remote show origi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