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지도란?
사각 타일의 형태로 표현되는 나무지도는 데이터의 정보를 타일의 크기와 색깔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타일들은 계층 구조로 되어 있어서 데이터에 존재하는 계층 구조까지 표현할 수 있다.
나무지도 작성하기
# 나무 지도 패키지 설치
install.packages('treemap')
library(treemap)
# 2014년도의 전 세계 국가별 인구 및 국민총소득(GNI), 소속 대륙 정보 가져오기
data(GNI2014)
head(GNI2014)
treemap(GNI2014,
index=c('continent', 'iso3'),
vSize='population',
vColor='GNI',
type='value',
bg.labels='yellow',
title="World's GNI")
# index=c('continent', 'iso3')
# 나무지도 상에서 타일들이 대륙(continent) 안에 국가(iso3)의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지정한다.
# vSize='population'
# 타일의 크기를 결정하는 열을 지정하는데, 여기서는 인구수(population)로 지정했다.
# vColor='GNI'
# 타일의 색상을 결정하는 열을 지정하는데, 여기서는 소득(GNI)으로 지정했다.
# type='value'
# 타일의 컬러링 방법을 지정하는 것으로, 'value'는 vColor에서 지정한 열에 저장된 값의 크기에 의해 색이 결정됨을 의미한다. 'value' 외에도 'index', 'comp', 'dens' 등을 지정할 수 있다.
# bg.labels='yellow'
# 대륙을 나타내는 레이블의 배경색을 지정한다.
iso3 은 국가를 식별하는 표준 코드이다. 타일의 면적은 인구수와 비례하고 타일의 색깔은 GNI를 의미하는데, 소득이 높을수록 진한 초록색에 가깝고 낮을수록 노란색에 가깝다. 타일들은 굵은 테두리선에 의해서 대륙으로 묶여져 있으며, 대륙의 이름이 노란색 바탕의 글씨로 표기되어 있다.
state.x77 데이터셋으로 나무지도 예시 더 알아보기
# treemap 패키지 불러오기
library(treemap)
# 매트릭스를 데이터프레임으로 변환
st <- data.frame(state.x77)
# 주의 이름 열 stname을 추가
st <- data.frame(st, stname=rownames(st))
treemap(st,
index=c('stname'),
vSize='Area',
vColor='Income',
type='value',
title='USA states area and income')
# state.x77 데이터셋에서 타일의 면적은 인구(Population)로 하고, 타일의 색은 문맹률(Illiteracy)로 지정한 나무지도를 작성하시오.
treemap(st,
index=c('stname'),
vSize='Population',
vColor='Illiteracy',
type='value',
title='USA states 인구와 문맹률')
# index=c('stname')
# 타일에 주 이름 표기
# vSize='Population'
# 타일의 크기
# vColor='Illiteracy'
# 타일의 컬러
# type='value'
# 타일의 컬러링 방법
'Data Science > R' 카테고리의 다른 글
[R 시각화 심화] ggplot (0) | 2021.10.05 |
---|---|
[R 시각화 심화] 방사형 차트 그리기 (0) | 2021.10.05 |
[R 시각화] 산점도 그리기 (0) | 2021.10.05 |
[R 시각화] 상자그래프 그리기 (0) | 2021.10.05 |
[R 시각화] 선그래프 그리기 (0) | 2021.10.05 |